SAN의 성장일지193 # 04. Protocol(3) / 서비스 [ Protocol(3) - 서비스 ] 표준화의 요소 • 프로토콜 사양 ∘두 시스템의 동일 레이어 간 동작 ∘다른 운영체제를 수반할 수 있음 ∘규약 명세서 정밀한 명세서 작성 - PDU 형식 - 모든 분야의 의미론 - PDU 허용순서 • 서비스 정의 ∘제공되는 서비스의 기능적 설명 • 주소 지정 ∘각 계층은 SAP를 통해 차상위 계층에 있는 모임에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 기본 요소 및 매개 변수 • 인접 계층 간의 서비스는 원시 요소 및 매개변수의 관점에서 표현된다. • 원시성이 수행할 기능을 지정함 • 데이터 전달 및 정보 제어에 매개변수 사용 원시 서비스 유형 > 요청 : 일부 서비스를 호출하고 요청된 서비스를 완전히 지정하는 데 필요한 매개 변수를 전달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가 발행한 원시 서비스 >.. 2020. 10. 16. # 07. 하드웨어와 운영체제(2) / 메모리 관리 [ 하드웨어와 운영체제(2) - 메모리 관리 ] + 저장장치 계층 구조 (about 하드웨어 ) * 캐시(cache) : 메인메모리보다 작은 용량 - 메인 메모리의 일부만 저장하며 좀 더 빠른 저장소에 정보를 복사하는 것을 캐싱이라고 함 - 캐싱은 재사용성을 목적으로 함 - 똑같은 메모리를 여러 곳에서 요청하면 캐시를 이용하여 빠르게 보냄 - secondary는 main memory의 swap area로도 쓰일 수 있음 + 프로그램 실행시의 메모리 load 순서 작성한 코드가 컴파일 되면 실행파일 형태로 하드디스크(file system, 비휘발성)에 저장됨 이 파일이 실행되면 프로세스로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되는 것 근데 바로 물리적인 메모리로 가는 건 사실 아님 한단계 있는데 그건 바로 virtual .. 2020. 10. 15. # 06. 하드웨어와 운영체제(1) / 컴퓨터 시스템 구조 [ 하드웨어와 운영체제(1) - 컴퓨터 시스템 구조 ] - CPU가 I/O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Device controller에 수행명령을 하고, I/O장치의 일이 끝나면 device controller가 interrupt line에 신호를 보내어 CPU가 I/O일을 마무리하도록 한다. - CPU는 하나의 intruction을 수행할 때마다 interrupt line을 확인한다. - timer : 운영체제가 부팅된 후 타이머(하드웨어 장치)에 일정한 시간을 부여한 후 cpu를 프로그램에 넘겨줌, => 어떤 프로그램이 CPU를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 * 핵심 : 운영체제 부팅 – timer에 일정시간 설정 - A에게 CPU 넘김 - 일정시간 지난 후 다른 프로그램으로 CPU 넘김 + cpu를 뺏어서.. 2020. 10. 15. # 05. 운영체제 OS [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OS) ]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되어 사용자 및 다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 범위에 따른 운영체제의 범위 + 협의의 운영체제 (커널) : 운영체제의 핵심부분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는 부분 + 광의의 운영체제 : 커널뿐 아니라 각종 주변 시스템 유틸리티를 포함한 개념 # 운영체제의 목적 + 관리대상 자원 : 하드웨어 + 프로세스 + 파일 등 ... (소프트웨어 자원도 관리대상 포함) +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동시 사용자/프로그램들이 각각 독자적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것 같은 환상을 제공 + 하드웨어를 직접 다루는 복잡한 부분을 운영체제가 대행 +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 프로.. 2020. 10. 15. # 04. 프로그램 컴파일 과정 (고급언어가 실행되기 까지) [ 고급 언어의 기계어 변환 및 실행 ] # 프로그램 빌드 과정 / 컴파일 과정 1) 고급 언어 프로그램(source file)이 컴파일러에 의해 컴파일되어 어셈블리 프로그램으로 변환시킨다. ** 컴파일러 : 고급언어로 작성된 명령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2) 어셈블리 프로그램은 어셈블러를 통해 기계어 프로그램(object file)으로 변환된다. ** 어셈블러 : 어셈블리어를 기계로 변역하는 프로그램 **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의미있는 단어로 바꾸어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 3) 이미 내장되어 있는 기계어 프로그램(object, library file)과 링커를 통해 링킹되어 실행파일(executable file / .exe)이 생성된다. ** 링커 : 여러 object file 및 .. 2020. 10. 15. #03. Protocol(2) / TCP + UDP [ Protocol(2) / TCP + UDP ] TCP/IP 프로토콜 아키텍처 1. ARPANET에 대한 프로토콜 연구 및 개발 결과 2. TCP/IP 프로토콜 제품군이라고 함 3. TCP/IP는 인터넷 표준인 많은 프로토콜 모음으로 구성된다. 물리층 • 데이터 전송 장치(예: 컴퓨터)와 전송 매체 또는 네트워크 사이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포함 • 다음과 같은 문제 관련: ∘전송매체 특성 신호의 성질 ∘자료율 18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 엔드 시스템과 이 시스템이 연결된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다룬다. • 다음과 같은 문제 관련: ∘대상 주소 제공 ∘우선순위 등 특정 서비스 호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두 개의 엔드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액세스 및 라우팅 • 이 계층에서.. 2020. 10. 13. #02. 프로토콜 아키텍처 Protocol Architecture [ Protocol Architecture ] 제2장 프로토콜 아키텍처 ---------------------------------------------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필요성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몇 가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1) 통신경로를 활성화하거나 목적지를 네트워크에 알려야 한다. 2) 소스는 대상자가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3) 소스의 파일 전송 신청서는 대상의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할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시스템의 형식이 다를 경우 형식 변환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프로토콜 아키텍처 기능이 너무 많아서 계층으로 나누어 기능을 분배함 하나의 프로토콜 아키텍처 생성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계층 구조 ∘시스템 간 .. 2020. 10. 13. #01. 데이터 통신(2) [ 데이터 통신(2) ] 네트워크 • 기술의 발전으로 용량과 통합의 개념이 크게 증가하여 장비와 네트워크가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음성 데이터 이미지 비디오 1-14 네트워크 • 두 가지 광범위한 통신 네트워크 범주: ∘광역망(WAN) LAN(Local Area Network) 1-15 광역 네트워크 • 넓은 지리적 영역 커버 • 부분적으로 공통 반송파 회로에 의존 • 대체 기술 ∘회선전환 ∘패킷 스위칭 ∘프레임 릴레이 ∘비동기 전송 모드(ATM) 1-16 회로 스위칭 (circuit switching) • 대화 기간 동안 전용 통신 경로 설정 • 경로는 노드 간 물리적 링크의 연결된 시퀀스 • 각 링크에 논리적 채널 전용 • 각 노드에서, 수신 데이터는 지체 없이 적절한 송신 채널로 라우팅.. 2020. 10. 13. #00. 데이터 통신(1) [ 데이터 통신(1) ] 직접 연결된 두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데이터 통신이라 한다. 컴퓨터 통신 : 컴퓨터들이 중간에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지는 것 통신망: 노드들과 링크들로 이루어진 것epd 링크: 컴퓨터를 잇는 연결매체 노드: (대형 네트워크에서 장치나 데이터 지점을 의미) 링크를 통해 연결된 컴퓨터들 이걸 다 통틀어서 그냥 데이터 통신이라 한다. 1-2 책의 범위 • 데이터 통신 - 다양한 디바이스를 연결할 수 있다. (광범위) - 신호전송을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법을 다룸 -> 신호전송, 전송 매체, 신호 인코딩, 인터페이스, 데이터링크 제어, 멀티 플렉싱 등의 주제를 다룸 • 네트워킹 - 통신기기를 상호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통신망의 기술 및 아키텍처에 관한 사항 - 현장 L.. 2020. 10. 13.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