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3

#11. 디데통(3) / CRC + 오류 수정 프로세스 + 해밍코드 [ 디지털 데이터 통신(3) - CRC + 오류 수정 프로세스 ] # 순환 중복 검사(CRC) • 가장 보편적이고 강력한 검사 중 하나 • k-bit 블록의 경우 송신기가 비트 시퀀스(n-k ) FCS(Frame Check Sequence)를 생성한다. • 미리 결정된 숫자로 정확히 구분되는 n비트 프레임 전송 • 수신기가 프레임을 해당 숫자로 나눈다 ∘남은 것이 없는 경우 오류 없다고 가정 • 구현 방법: ∘modulo 2 산술 ∘polynomials (다항식) ∘digital logic (디지털 논리학) # CRC - 구현 • Modulo 2 - 운반이 없는 바이너리 추가(XOR) - 데이터 끝에 (n-k ) 0의 추가 - 결과를 P로 나누고 나머지는 FCS로 나누기 # CRC - 구현 • Polyn.. 2020. 10. 21.
#10. 디데통(2) / 오류 탐지 : 패리티 검사 + 체크섬 [ 디지털 데이터 통신(2) - 오류 탐지 : 패리티 검사 + 체크섬 ] # 오류 유형 • 전송과 수신 사이에서 비트가 변경될 때 에러가 발생 • 단일 비트 오류  한 비트 변형  인접비트는 영향을 받지 않음  백색소음(열) 발생 • Burst error(길이 B ) bbit의 연속된 비트 오류 ∘첫 번째 및 마지막 비트와 임의 수의 중간 비트가 오류로 수신되는 B 비트의 연속 시퀀스 ∘데이터 속도가 높을수록 효과 커짐 ∘임펄스 노이즈 또는 모바일 무선 환경에서 페이딩으로 발생 # 오류 탐지 (1) • 설계에 관계없이 오류가 발생하여 전송된 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비트가 변경됨 • 프레임 : 하나 이상의 연속된 비트 시퀀스로 전송되는 데이터 • 단일 비트 오류의 확률이 증가할 때 프레임의 비트 오류.. 2020. 10. 21.
#09. 디지털 데이터 통신(1)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디지털 데이터 통신 기술 ====234계층 인데 주로 2계층 datalink에서 많이 다룸 [ 디지털 데이터 통신(1)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 개요 •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전송 매체에 의해 직접 연결된 두 장치의 경우, 높은 수준의 협조가 필요하다. ∘ 타이밍(동기화: 속도, 지속시간, 간격) ∘오류탐지 ∘오류수정 ∘라인 구성 비동기식 및 동기식 전송 • 송신기와 수신기를 동기화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한 타이밍 문제 • 시계를 동기화하는 두 가지 솔루션  비동기식  동기식 동기화가 필요한 이유 : # 비동기 전송 (Asynchronous transmission) • 데이터가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됨 ∘각 문자의 길이는 5~8bit • 각 문자 내에서만 타이밍 유지 • 데이터에 동기 신.. 2020. 10. 21.
# 09.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 생성 (Process Creation) - 부모 프로세스(Parent process)가 자식 프로세스(children process) 생성 : 커널을 통해서 자식을 복제해달라고 요청해야 함 ?자식을 만드려면 사용자프로세스의 자격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 있기 때문 - 프로세스의 트리(계층 구조) 형성 - 프로세스는 자원을 필요로 함  운영체제로부터 받는다  부모와 공유한다 - 자원의 공유  부모와 자식이 자원을 공유하는 모델 : 물리적인 공간은 한정적이므로 똑같은 데이터가 올라가 있으면 비효율적이므로 공유를 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 공유하지 않는 모델 _이게 기본형 :경쟁하는 관계가 기본 프로그램 카운터는 무조건 복제해서 따로 쓴다. 원칙적으로는 서로 독립적인 프.. 2020. 10. 20.
# 08. 프로세스 [프로세스] 프로세스 : 지금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의 문맥 (context)가 매우 중요하다. 프로세스의 중간을 끊어서 봐도 어떤 과정 중인지 왜 이런 과정 중인지를 이해할 수 있으려면 문맥이 중요하다. 프로그램이 카운터가 어디를 가리키고 있는가 (프로그램이 어디까지 실행 됬는가)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뭐가 저장되어 있는가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든 요소를 문맥이라고 한다. 하드웨어 문맥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 메모리에 관련 프로세스 관련 커널 자료구조 : PCB 운영체제가 이 프로세스에 대해 어떤 값을 가지고 이쓴ㄴ지 : Kernel stack : 프로세스 혼자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번갈아가며 실행되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저장해놓지 않으면(문맥을 모르면) 다시 해당 .. 2020. 10. 20.
#08. 전송매체(3) 24 데이터 속도 및 대역폭 • 신호는 일반적으로 많은 주파수(파장)로 구성된다. • 신호의 스펙트럼은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 범위다. • (absolute)신호의 대역폭은 신호를 구성하는 주파수 범위의 폭이다. • (효과적인) 대역폭은 신호에 대부분의 에너지를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이다. • 이는 휴대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한한다. 25 채널 용량 • 데이터 속도  초당 비트 수 ∘데이터의 전달 속도 • 대역폭  초 당 사이클 또는 헤르츠 ∘송신기 및 매체 등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26 전송 장애 • 수신된 신호와 전송된 신호가 다를 수 있음 • 아날로그 - 신호 품질 저하 • 디지털 비트 오류 • 원인: ∘감쇠 및 감쇠 왜곡 ∘지연 왜곡  노이즈 27 감쇠 • 신호 강도.. 2020. 10. 18.
#07. 전송매체(2) / 동축케이블 + 광섬유 (2) 동축 케이블 (Coaxial cable) + 구조 - 원통형 도체와 내부의 도체 그리고 도체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절연체로 이루어짐 > 내부 전도체 : 데이터 전송 > 외부 전도체 : 외부의 간섭을 차폐 + 동축 케이블 • 긴 거리에 사용되며 트위스트 페어보다 더 많은 스테이션이 공유 라인에 지원됨 •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다용도 전송 매체: ∘ 텔레비전 분포 ∘ 장거리 전화 송수신 - 음성통화 1만 건 이상 동시 가능 - 광섬유로 교체 중 ∘ 단거리 컴퓨터 시스템간 링크 ∘ 근거리 통신망 • 폭넓은 대역폭과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진다. • 가격이 비싸며 설치가 어렵다. + 전송 특징 • 트위스트 페어보다 간섭과 크로스스토크에 강함 ∘ UTP보다 잡음에 강하다. • 아날로그 ∘ ?kms마다 증.. 2020. 10. 18.
#06. 전송 매체(1) / 트위스트 페어 # 전송매체 # + 전송 매체 :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물리적 경로임 • Guided(유도매체/유선) : 고체 매체를 따라 전송 • unGuided(비유도매체/무선) : 대기, 공간, 물를 통해 전송 + 데이터 전송의 특성과 품질은 매체와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 유도 매체의 경우 매개체가 전달특성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함 • 비유도 매체의 경우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신호 대역폭이 더 중요하다. ∘저주파수에서의 신호는 전방향 ∘높은 주파수에서의 신호는 단방향 + 주요 설계 관심사는 데이터 전송 속도 및 거리 * (effective)bandwidth (대역폭) : 여러가지 주파수대의 시그널 중에서 에너지 대다수가 집중되어 있는 곳 # 설계 요인 + 대역폭 (bandwidth) : 대역폭 증가할수록, 데이터.. 2020. 10. 18.
# 05. 주소 해석 프로토콜 ARP [ 주소 해석 프로토콜 ARP ]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 애플리케이션 : 커뮤니케이션, 분산 프로세스 "사용자 공간"에서 네트워크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 앱 구현을 위한 메시지 교환  e-메일, 파일 전송, 웹 등 ∘응용 계층 프로토콜  앱의 "피스" 하나  앱이 주고받는 메시지 및 취한 조치 정의  하위 계층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및 전송 프로토콜 LAN 주소 및 ARP 1빠 - 실제 주소인 ip를 번역하는 것은 DNS서버가 해줌 도메인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음 도메인을 타고타고타고타서 모든 ip주소를 알아내어 ]사용함- (처음 써보는 ip주소 같은 경우) 한번 사용하고 나면 도메인에 기록이 남아 다음에 다시 여러 루트를 탈 필.. 2020.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