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ut COMPUTER/네트워크

#09. 디지털 데이터 통신(1)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by saniii 2020. 10. 21.

 

디지털 데이터 통신 기술

====234계층 인데 주로 2계층 datalink에서 많이 다룸

 

[ 디지털 데이터 통신(1) / 동기식 전송 + 비동기식 전송 ]

 

 

개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전송 매체에 의해 직접 연결된 두 장치의 경우, 높은 수준의 협조가 필요하다.

타이밍(동기화: 속도, 지속시간, 간격)

오류탐지

오류수정

라인 구성

 

비동기식 및 동기식 전송

송신기와 수신기를 동기화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한 타이밍 문제

시계를 동기화하는 두 가지 솔루션

비동기식

동기식

 

동기화가 필요한 이유 :

 

 

 

# 비동기 전송 (Asynchronous transmission)

데이터가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됨

각 문자의 길이는 5~8bit

각 문자 내에서만 타이밍 유지

데이터에 동기 신호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전송

수신기가 각 문자와 다시 동기화됨

문자의 시작에 startbit, 끝에 stopbit를 첨가하여 전송

사이에 paritybit도 븥임

=>1자당 2~3비트의 오버헤드(20% 이상) efficiency

= 순 데이터/전체 데이터

> 효율을 높이려면 더 큰 비트 블록이 필요하다.

> 누적 타이밍 오류 증가

> 낭비가 크다.

두 가지 유형의 오류:

비트 에러

프레임 에러

필요한 접속장치와 기기들이 간단하고 싸다.

비효율적이지만 modem에서 쓰임

 

비동기식 전송은 startbitstopbit사이의 간격이 가변적이므로 불규칙적인 전송에 적합

전송속도가 낮다. (어떤 bit는 중복되고 어떤 bit는 못읽는 경우가 생기므로 고속 전송이 힘들다.)

 

 

 

 

 

 

# 동기식 전송 (Synchronous)

(위성)GPS를 통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시간대를 맞추어 데이터 전송

미리 정해진 수만큼의 문자열을 한 묶음으로 만들어 일시에 전송

송신측에서 2진 데이터들을 정상적인 속도로 내보내면 수신측에서 정해진 크기의 블록만큼 데이터를 인식

데이터용1, 클록용1개 총 2회선이 필요하다.

블록의 시작과 끝을 표시해야 함

프리앰블() 및 포스트앰블() 비트 패턴 사용

SYN 문자 시리즈 등

: 01111110 패턴 블록

대규모 데이터 블록에 대한 비동기식보다 더 효율적(오버헤드 감소)

수신측에서 bit계산을 해야하고 문자열을 조립하는 별도

의 기억장치가 필요하므로 비싸다.

: HDLC(비트 지향)

LAN(문자 지향)

 

댓글